CSS
 
Date : 21-01-08 07:48
   A7-3_HyeyeonChang.pdf (1.4M)
Results from Estimating Daytime Nominal Ionospheric Gradient Statistics for GBAS Operations in Geomagnetic Equatorial Regions
Hyeyeon Chang*, Jiyun Lee


지상 기반 보강 시스템(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, GBAS)은 무결성 보장을 위해 사용자에게 무결성 파라미터인 수직 전리층 기울기의 통계치(****)를 제공한다. 현재 CAT I GBAS에서 제공되는 ***** 값은 미국 본토(Conterminous United States, CONUS)에 위치한 기준국에서 수집된 데이터 통해 산출되었으며, 그 값은 4 mm/km이다. 하지만 지자기 적도 부근에 위치한 적도 지역은 상대적으로 중위도 지역보다 전리층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기존 중위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**** 값을 적도 지역에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. 또한 적도 지역에서의 낮 시간대와 밤 시간대의 전리층 현상이 현격하게 다르기 때문에, 시간대를 구별하여 **** 값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. 본 연구에서는 지자기 적도 부근에 위치한 브라질 지역에서, 전리층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날(Nominal days)의 낮 시간대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. 적도 전리층 환경이 중위도 전리층 환경과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는 섬광현상(Scintillation event)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것이다. 따라서 분석에 사용된 날은 지자기 지수인 Kp지수(Planetary K index), Dst지수(Disturbance storm index)뿐만 아니라, 섬광현상(Scintillation event)을 나타내는 지수인 S4지수(Scintillation index)도 고려되어 선정되었다. 또한 짧은 거리에 대한 전리층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는 ‘time-step’ 방법을 사용하여 전리층 기울기 값을 산출하였다. 결과적으로, 적도 전리층 정상상태로 판단되는 날의 낮 시간대에 발생 가능한 전리층 공간 비상관성을 유계하는 **** 값은 6 mm/km으로 추정하였다. 또한 시간창 값에 따른 전리층 지연오차의 경향을 확인하였고, 이를 통해 시간적 변화에 의한 영향을 모델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.

Keywords: equatorial ionosphere, CAT I GBAS, vertical ionospheric gradient


profile_image Speaker
Hyeyeon Chang*